세계 컨테이너 처리항만 중 지금까지 싱가포르항과 수위를 다투던 홍콩항이 금년 1/4분기 처음으로 상해항에 추월당해 3위로 밀려났다. 금년 1/4분기 항만별 컨테이너처리 실적에 따르면 싱가포르항이 작년 1/4분기 대비 14% 증가한 880만TEU를 처리해 여전히 1위를 기록했으며 상해항이 26.8% 증가한 808만TEU를 처리해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반면 ..
미국이 지난해 10월 제정한 항만보안법에 따라 시행되는 미국 수출 컨테이너화물에 대한 100% 사전 방사능 검사 시범사업(pilot programme)이 지난 5월 초부터 파키스탄 카심 항만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카심 항만과 우리나라 감만 터미널 등 세계 6개 항만을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대상으로 선정한 바 있는데, 지난 4월 온두라..
최근 중국 최대선사인 코스코(COSCO)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항과 MOU를 체결하고, 남중국과 연해주간 기계설비와 컨테이너화물을 운송하기로 했다. 2003년 ‘동북진흥전략’의 본격적인 가동에 따라 연해주 항만을 활용하는 중국 화물운송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난 3월 교통부는 흑룡강성 화물의 연해주 항만을 통한 남중국으로의 운송방..
북중국에서의 거점항만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산둥성은 지난해에 80억 위안(약 10억 달러)을 투입한데 이어 올해에도 90억 위안(약 12억 달러)을 투입하여 18개 선석(그중 만톤급 16개)을 개발하는 등 대대적인 항만확충에 나서고 있다. 이에 앞서 산둥성 정부는 2005년 “항만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의견”을 마련하고 2010년까지 530억 위안(약 75억 달..
최근 국제철도연맹(International Union of Railways : 이하 UIC)이 2025년까지의 내륙철도운송 장기비전을 제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올 3월 인도 델리에서 개최된 아시아 지역 총회에서 제시된 장기비전의 핵심은 주요 철도회랑(corridor)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중국으로부터 노르웨이를 거쳐 북미 대서양 서안까지 철도를 연결한다는 일명 ‘NEW'(..
유럽, 미국, 아시아에서 창고를 집약, 합리화추진 세계적인 전자기업인 소니는 세계 각국에서 제품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이 회사가 발생시키는 국제 화물량의 확대가 지속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해상물류에 있어 적재효율의 향상으로 40피트 형 컨테이너 환산수송량 자체는 다소 줄어드는 경향이 지속되었으나 2007년에는 다시 증가세로 전환, ..
LA항만청은 최근 항만보안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가동하면서 총 1,500만 달러의 예산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항만 당국은 앞으로 18개월 동안 보안인력을 2배로 늘이고, 크루즈 터미널에 화물 및 운송수단 검색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항만시설 전반적인 보안등급을 높일 계획이다.
미국과 일본은 지난 4월 28일부터 8월말까지 미국 국토안보부가 개발하고 있는 해상 컨테이너 화물 추적 시스템(Marine Asset Tag Tracking System : MATTS)에 대한 통신능력 실증 실험에 들어갔다. MATTS는 미국 국토안보부가 2003년부터 글로벌 물류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icontrol이라는 벤처 기업과 계약을 통해 개발하는 컨테이너 화물 장거리 추적 ..
대만선사인 에버그린과 중국선사인 코스코(COSCO)가 5월 중순부터 각각 1,200TEU급 선박 2척을 투입해 홍해~아시아 항로에 투입할 예정이다. 이는 홍해와 아시아간 물동량 증가에 따른 조치인데, 이 항로의 기항지는 싱가포르→ 탄중 펠레파스→ 제다(Jeddah)→수단항→호데이다(Hodeidah)→싱가포르이다.
중국이 타이완 기업에 대해 해운 및 컨테이너 운송, 항만 및 철도 등 물류시장을 전면 개방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2일자 아메리칸 쉬퍼에 따르면, 중국 교통부의 고위관리는 최근 베이징에서 개최된 양안 교역포럼에서 이와 같이 밝혔다. 다만, 중국의 이 같은 결정에도 불구하고 대만 기업이 실제로 중국 물류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