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EX Korea 출범…글로벌 서비스 시동 UBC통해 홍콩 환적 후 전세계 배송 서비스 개시 캐세이퍼시픽 항공의 특송대리점으로 라인홀 익스프레스가 우리나라의 특송홀세일러인 발렉스로지스틱스와 합작법인형태로 라인홀익스프레스 코리아(Linehaul Expres Korea, 대표이사 : 권태석)를 지난 2월에 설립했다. 라인홀 익스프레스는 와코 로지스틱스(Wako..
관세청, 복운업 등록 의무화 “논란” 관세청이 최근 복합운송주선업 미등록 국제특송업체가 수입업무를 할 경우 반드시 등록한 후 세관부호(4 Code)를 오는 5월 11일까지 받아야 한다고 규정해 아직 등록치 않은 상당수의 영세 특송업체들로부터 불만을 사고 있다. 관세청은 지난 3월 말 공문을 통해 지금까지는 특송 홀세일러가 각 대리점에 임의의 코..
한국화주, 국제특송은 “경제성이 최우선” 브랜드·최신설비보다 요금과 정확성에 비중 커 우리나라 화주들의 국제특송업체 서비스의 선택기준은 서비스 질적인 부분보다 경제성에 더 무게를 두는 것으로 최근 연구조사에 의해 나타났다. 최정규 교수와 박용화 교수(이상, 인하대)가 공동 저술한 ‘우리나라 국제특송사업들의 경쟁력 평가 연구(한국항..
특송 통관 하면 “로커스죠~” 국제 운송방법 중 가장 빠른 방법인 ‘Express'. 그렇다면 국제특송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는? 바로 통관이다. 되도록 빨리 관세선을 통과해야 그만큼 고객에게 신속하게 배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통관은 부지런함이 관건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수입 특송화물이 폭증하고 있는 요즘에는 빠르고 정확한 통관이 그 ..
한미 FTA 타결 “국제특송 활성화 기대” 세관 절차 간소화…전자상거래도 확대 전망 지루하게 이어졌던 한·미 FTA가 지난 4월 2일 전격 타결됐다. 일부 농수산 품목을 제외한 전 산업분야의 관세철폐를 골자로 한 이번 타결은 중국의 산업화로 인해 쇠락 일로를 걷던 우리나라 대미 수출 경쟁력을 다시한번 살릴 계기라는 것이 대내외의 평가다. 아직 국..
국내택배 Big4 “국제특송은 우리의 운명” 국제특송은 글로벌종합물류의 필수 교두보 CJ GLS의 합세로 무한경 경쟁 체제 돌입 대한통운, 한진, 현대택배, CJGLS. 국내택배 시장을 주름잡고 있는 이들 기업들이다. 지금까지 이 기업들은 국제특송시장에 한발만 살짝 걸치고 진입시기를 가늠해 왔다. 그런데 이제 이 거대기업들이 국제특송 시장에 완벽..
“김포공항 특송화물 환적 중심지로 육성할 터” 세관승격 1년 특송화물 통관 40분에서 20분 단축 “민·관은 동반자”… 성실 신고시 인센티브계획 과거 우리나라의 관문이었던 김포공항. 이제는 토종 특송업체들의 거점으로, 또 수도권 물류·유통기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인천공항에서의 물류비가 높다는 점과 김포공항이 하기장으로서 서울에 위치..
한국도심공항터미널(대표 이승현) 컴소시엄이 지난 24일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부산신항 배후부지 물류센터 운영을 위한 합작 법인 ‘퍼스트 클래스 로지스틱스(주)’ 설립 출범식을 개최했다. 중국과 일본의 자본을 유치해 설립 된 법인의 출범식에는 일본 시모노세키해륙운송(주) 요네다(Yoneda) 사장과 중국 커윈물류(주) 이헌주 ..
부산을 방문중인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장 원 웨(張文岳) 성장을 비롯한 랴오닝성 관계자 등 17명이 24일 오후 부산항만공사(BPA)를 방문, BPA 이갑숙 사장과 양기관간 교류협력 증대 방안을 논의했다. 장 성장은 이 자리에서 “중국의 동북 3성 가운데 하나인 랴오닝성은 부산항과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다”며 “부산항의 운영주체인 BPA와 랴오닝성의 공..
신규 건조된 초대형 자동차 전용 운반선이 인천항에 입항했다. 지난 4월 24일 오전 8시 일본 MOL(Mitsui OSK Line)사의 자동차 전용운반선 ‘프라임로즈 에이스’호가 인천항에 입항, 자동차 전용부두인 5부두에 접안했다. 프라임로즈 에이스호는 지난 4월20일 일본 토요하시조선소에서 건조돼 첫 출항에 나선 최신 선박이다. 프라임로즈 에이스호는 첫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