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교부,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구축 공청회 개최
물류 정보망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국가물류 통합정보센터’가 빠르면 오는 9월부터 구축에 들어간다.
산재되어 있는 단위물류정보망을 연계해 통합적인 물류정보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골자로 한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구축방향’에 대한 공청회가 건설교통부(장관 : 이용섭)와 한국교통연구원(원장 : 강재홍)의 주최 하에 지난 8월 23일 무역센터 51층 대회의실에서 발표됐다. 이날 공청회는 150여명의 물류관계자가 참석해 센터구축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기본 제시방향은 육·해·공의 모든 물류정보를 연계·관리·서비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물류주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컨텐츠 및 부가서비스를 사용자 중심의 정보로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취약한 내륙물류정보화를 촉진시키며 중소기업을 위한 표준운영시스템 개발 및 보급하는 등에 물류기업의 정보화를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2011년까지 3단계에 걸쳐 추진
고칠진 건설교통부 물류시설정보팀장의 설명에 따르면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는 3단계에 걸쳐 추진된다. 향후 2011년까지 5년간 추진되어지는 거대한 설계의 총 예산은 186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세부적 계획을 살펴보면 △1단계에서는 2007년~2008년까지 기반구축을 하는 단계로 유관기관시스템 연계 및 국가물류통합DB, 화물추적서비스 RFID기반 정보화를 다진다. 연계대상은 해수부, 관세청, 철도공사. 연구기관, 화주, 운송사,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업체 등이 해당된다.
△2단계에서는 2009년~2010년까지 안정화 및 확산하는 단계로 내륙물류거점 연계확산 및 DW구축 및 맞춤형 서비스, 물류기업지원 서비스, RFID기반 정보화가 이루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연계확대가 215곳으로 확대하고, ICD·IFT(화물터미널)·CY(Container Yard), 집배송·유통단지와 시범연계 할 계획이다. 정보연계와 물류 현황 조사 등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가공·분석해 물류정보통합DB(Data Base)를 구축하게 된다.
△3단계는 2011년까지 정착 및 고도화 하는 단계로 글로벌 연계 제공 및 서비스 고도화, 기업지원 확대, 부가서비스 개발 등이 차례대로 추진된다.
또한 포탈을 구축해 수요자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 개발 및 정보중계, 실시간정보, 물류 통계정보, 기업지원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을 추가적으로 계획하고 있다.
물류비 절감 필요
건교부에 이러한 추진배경에는 국가간 물류비 경쟁이 21세기 국자경쟁력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는 전제가 있다.
고 팀장은 “기업의 물류비는 운송비(53%)와 보관 및 재고관리비(33%)가 절대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며 “이 분야의 정보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향상 노력이 필요할 때”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서 “물류시장 규모 확대에 따라 물류정보인프라 수요와 함께 효율적인 정보네트워크 필요성 증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물류시장의 규모 확대에 따라 물류기업체 수도 2004년 기준으로 16만 3,000업체로 연평균 7%씩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고 운송업체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물류기업의 양적 증가는 공급과잉으로 인한 영세화로 이어져 기업차원의 정보화를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건교부가 2006년 10월에 실시한 물류정보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물류기업들의 80%이상이 물류흐름의 전반을 관리(Total Supply Chain Management)할 수 있는 통합적인 물류정보 허브(HUB)구축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물류주체들은 화물추적 및 차량위치, 공차정보 등의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시스템, 연계부족…효율성 저하
또한 고 팀장은 “정부나 기업 등이 각기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나 상호연계가 부족해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분야별, 물류주체별 정보화의 정도가 다르고, 항공 및 해운, 통관분야 정보시스템은 선진화되어 있으나 물류거점 및 창고, 운송과 같은 육상분야는 정보화가 미흡하다는 설명이다.
△물류기업의 경우 화주와 포워더는 개별적인 물류시스템 구축으로 표준화가 미비하고, 시스템간 연계부족으로 스케쥴 및 화물추적정보 획득에 애로점이 있다.
△내륙·항공분야의 경우 건교부가 종합물류정보전산망 기본 계획을 마련해 지난 1996년이후 항공 및 내륙물류 정보화를 추진되어 졌다. 여기에는 전자문서교환서비스를 비롯해 첨단화물운송시스템, 수출입물류정보서비스, 항공물류정보시스템 등이 있다.
△철도·항만·통관 분야의 경우는 철도공사가 철도운영정보시스템(KROIS)을 구축해 화물의 실시간 위치정보, 고객별 운송실적정보 등을 제공하고 부산진CY에 운영효율화를 위해 운영하고 있다.
해수부는 해운항만물류정보센터(SP-IDC)에서 선박입출항관리, 컨테이너, 선적 및 항만스케줄 등에 해운항만 물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관세청은 전자통관시스템(UNI-PASS)을 구축해 수출입승인, 관세납부 등을 One-Stop처리하고, 화물추적정보, 통관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정보균형화 절실…답은 통합구축망 구축
고 팀장은 “이러한 시스템들은 물류주체간 정보화가 균형을 이루고 각 단위정보망을 연계하는 통합시스템이 구축돼야 정보화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고 주장했다.
또한 해외 선진사례를 들며 육·해·공을 연계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무역 및 운송, 통관업무 등을 웹상에서 처리가능토록 해 물류비절감을 도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덜란드의 경우는 항만 및 내륙물류기지, 공항, 세관, 기업, 공공기관 등의 정보를 EDI를 통해 연계하는 통합정보망을 구축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는 수출입 및 환적화물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물류기업과 20개의 정보기관을 연결하는 국가차원의 네트워크인 Trade-Net과 항만운영 효율화를 위해 PortNet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FedEx의 경우는 세계 최대의 특급운송사로 화물추적 뿐만 아니라 운송장 등 국제무역에 필요한 절차를 웹상에서 처리해 24~28시간 내에 Door-to-Door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 팀장은 ‘국가물류 통합정보센터’가 구축되면 관련 유관부처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아랑 기자
공청회 현장스케치
정부주도 통합 ‘회의적 반응’
“제2의 KILC 아니냐” 비판제기
건교부의 야심찬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구축 계획에 공청회는 물류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으나 대체로 “될까?”라는 싸늘한 분위기였다.
토론에 참여한 김수엽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연구위원은 “통합 DB를 구축하는데 있어 법적인 성격을 명확히 하고, 법적 근거를 갖고 사업을 진행해야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서 그는“컨텐츠가 많이 모아져 있다 해서 정보센터가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힌 뒤 “시스템만이 갖는 독특한 정보를 갖추고 기존의 정보를 뛰어넘는 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일부가 아닌 고르게 정보가 발전돼야 하며 시스템을 구축시에는 사용자와의 피드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부연구위원은 “정보화를 통해 물류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우선 3자물류의 활성화가 시급하다” 며 “우선적으로 정부의 투자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화주들은 정보에 목이 말라 있다”고 운을 뗀 김길섭 무역협회 하주협의회 사무국장은 “사용자측면에서 정보가 세분화돼야 하고 자료의 업데이트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며 “관리를 하지 않으면 그건 죽은 DB와 마찬가지”라고 말해 실용성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내륙운송활성화를 위해 공차정보서비스 만이라도 활성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승범 인천대 동북아 물류대학원 교수는 “정부차원에서 통합하는데 있어 어디까지 정보가 제공되는 것인가에 대한 영역을 명확할 필요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안 교수는 “정보의 개수보다는 지원을 누구에게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설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노홍승 한국교통연구원 물류연구실 책임연구원은 “‘모든 물류정보는 통합정보센타에 집중돼야 한다’는 잘못된 오해를 갖고 있다” 며 “모든 정보가 모인다면 좋을 일이지만 포함돼서는 안되는 정보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취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공청회에 참석한 물류관계자들은 이 프로젝트에 회의적인 반응이었다. 한 참석자는“물류정보시스템이 정부를 주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며 “정부주도로 추진한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한 “시장에 대한 분석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정부 주도보다는 기업들을 지원할 것”을 제안하며 “정부가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를 내놓고 예산을 지원해 시장을 이끄는 것이 필수 과제”라고 지적했다.
다른 참석자도 “DB를 구축해 통합하고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은 좋은 의도” 라면서도 “포탈을 구축할 때의 물류 코드화 및 정보의 보완성, 공개 기준이 언급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서 “정확한 정보를 위한 영세업체의 시스템 지원계획과 보급 내용이 빠졌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참석자 역시 “예전에도 KILC(통합물류정보 프로젝트)와 같은 비슷한 물류정보 통합작업이 있었지만 수십억원의 예산만 낭비하고 유명무실한 상태” 라며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가 제대로 추진되지 않을 경우 세금만 낭비하는 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물류 정보망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국가물류 통합정보센터’가 빠르면 오는 9월부터 구축에 들어간다.
산재되어 있는 단위물류정보망을 연계해 통합적인 물류정보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골자로 한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구축방향’에 대한 공청회가 건설교통부(장관 : 이용섭)와 한국교통연구원(원장 : 강재홍)의 주최 하에 지난 8월 23일 무역센터 51층 대회의실에서 발표됐다. 이날 공청회는 150여명의 물류관계자가 참석해 센터구축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기본 제시방향은 육·해·공의 모든 물류정보를 연계·관리·서비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물류주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컨텐츠 및 부가서비스를 사용자 중심의 정보로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취약한 내륙물류정보화를 촉진시키며 중소기업을 위한 표준운영시스템 개발 및 보급하는 등에 물류기업의 정보화를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2011년까지 3단계에 걸쳐 추진
고칠진 건설교통부 물류시설정보팀장의 설명에 따르면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는 3단계에 걸쳐 추진된다. 향후 2011년까지 5년간 추진되어지는 거대한 설계의 총 예산은 186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세부적 계획을 살펴보면 △1단계에서는 2007년~2008년까지 기반구축을 하는 단계로 유관기관시스템 연계 및 국가물류통합DB, 화물추적서비스 RFID기반 정보화를 다진다. 연계대상은 해수부, 관세청, 철도공사. 연구기관, 화주, 운송사, CVO(Commercial Vehicle Operation)업체 등이 해당된다.
△2단계에서는 2009년~2010년까지 안정화 및 확산하는 단계로 내륙물류거점 연계확산 및 DW구축 및 맞춤형 서비스, 물류기업지원 서비스, RFID기반 정보화가 이루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연계확대가 215곳으로 확대하고, ICD·IFT(화물터미널)·CY(Container Yard), 집배송·유통단지와 시범연계 할 계획이다. 정보연계와 물류 현황 조사 등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가공·분석해 물류정보통합DB(Data Base)를 구축하게 된다.
△3단계는 2011년까지 정착 및 고도화 하는 단계로 글로벌 연계 제공 및 서비스 고도화, 기업지원 확대, 부가서비스 개발 등이 차례대로 추진된다.
또한 포탈을 구축해 수요자 맞춤형 정보제공 서비스 개발 및 정보중계, 실시간정보, 물류 통계정보, 기업지원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개발을 추가적으로 계획하고 있다.
물류비 절감 필요
건교부에 이러한 추진배경에는 국가간 물류비 경쟁이 21세기 국자경쟁력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는 전제가 있다.
고 팀장은 “기업의 물류비는 운송비(53%)와 보관 및 재고관리비(33%)가 절대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며 “이 분야의 정보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향상 노력이 필요할 때”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서 “물류시장 규모 확대에 따라 물류정보인프라 수요와 함께 효율적인 정보네트워크 필요성 증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물류시장의 규모 확대에 따라 물류기업체 수도 2004년 기준으로 16만 3,000업체로 연평균 7%씩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고 운송업체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물류기업의 양적 증가는 공급과잉으로 인한 영세화로 이어져 기업차원의 정보화를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건교부가 2006년 10월에 실시한 물류정보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물류기업들의 80%이상이 물류흐름의 전반을 관리(Total Supply Chain Management)할 수 있는 통합적인 물류정보 허브(HUB)구축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물류주체들은 화물추적 및 차량위치, 공차정보 등의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시스템, 연계부족…효율성 저하
또한 고 팀장은 “정부나 기업 등이 각기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으나 상호연계가 부족해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분야별, 물류주체별 정보화의 정도가 다르고, 항공 및 해운, 통관분야 정보시스템은 선진화되어 있으나 물류거점 및 창고, 운송과 같은 육상분야는 정보화가 미흡하다는 설명이다.
△물류기업의 경우 화주와 포워더는 개별적인 물류시스템 구축으로 표준화가 미비하고, 시스템간 연계부족으로 스케쥴 및 화물추적정보 획득에 애로점이 있다.
△내륙·항공분야의 경우 건교부가 종합물류정보전산망 기본 계획을 마련해 지난 1996년이후 항공 및 내륙물류 정보화를 추진되어 졌다. 여기에는 전자문서교환서비스를 비롯해 첨단화물운송시스템, 수출입물류정보서비스, 항공물류정보시스템 등이 있다.
△철도·항만·통관 분야의 경우는 철도공사가 철도운영정보시스템(KROIS)을 구축해 화물의 실시간 위치정보, 고객별 운송실적정보 등을 제공하고 부산진CY에 운영효율화를 위해 운영하고 있다.
해수부는 해운항만물류정보센터(SP-IDC)에서 선박입출항관리, 컨테이너, 선적 및 항만스케줄 등에 해운항만 물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관세청은 전자통관시스템(UNI-PASS)을 구축해 수출입승인, 관세납부 등을 One-Stop처리하고, 화물추적정보, 통관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정보균형화 절실…답은 통합구축망 구축
고 팀장은 “이러한 시스템들은 물류주체간 정보화가 균형을 이루고 각 단위정보망을 연계하는 통합시스템이 구축돼야 정보화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고 주장했다.
또한 해외 선진사례를 들며 육·해·공을 연계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무역 및 운송, 통관업무 등을 웹상에서 처리가능토록 해 물류비절감을 도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덜란드의 경우는 항만 및 내륙물류기지, 공항, 세관, 기업, 공공기관 등의 정보를 EDI를 통해 연계하는 통합정보망을 구축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는 수출입 및 환적화물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물류기업과 20개의 정보기관을 연결하는 국가차원의 네트워크인 Trade-Net과 항만운영 효율화를 위해 PortNet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FedEx의 경우는 세계 최대의 특급운송사로 화물추적 뿐만 아니라 운송장 등 국제무역에 필요한 절차를 웹상에서 처리해 24~28시간 내에 Door-to-Door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고 팀장은 ‘국가물류 통합정보센터’가 구축되면 관련 유관부처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아랑 기자
공청회 현장스케치
정부주도 통합 ‘회의적 반응’
“제2의 KILC 아니냐” 비판제기
건교부의 야심찬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구축 계획에 공청회는 물류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으나 대체로 “될까?”라는 싸늘한 분위기였다.
토론에 참여한 김수엽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연구위원은 “통합 DB를 구축하는데 있어 법적인 성격을 명확히 하고, 법적 근거를 갖고 사업을 진행해야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서 그는“컨텐츠가 많이 모아져 있다 해서 정보센터가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힌 뒤 “시스템만이 갖는 독특한 정보를 갖추고 기존의 정보를 뛰어넘는 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일부가 아닌 고르게 정보가 발전돼야 하며 시스템을 구축시에는 사용자와의 피드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부연구위원은 “정보화를 통해 물류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우선 3자물류의 활성화가 시급하다” 며 “우선적으로 정부의 투자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화주들은 정보에 목이 말라 있다”고 운을 뗀 김길섭 무역협회 하주협의회 사무국장은 “사용자측면에서 정보가 세분화돼야 하고 자료의 업데이트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며 “관리를 하지 않으면 그건 죽은 DB와 마찬가지”라고 말해 실용성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내륙운송활성화를 위해 공차정보서비스 만이라도 활성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승범 인천대 동북아 물류대학원 교수는 “정부차원에서 통합하는데 있어 어디까지 정보가 제공되는 것인가에 대한 영역을 명확할 필요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안 교수는 “정보의 개수보다는 지원을 누구에게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설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노홍승 한국교통연구원 물류연구실 책임연구원은 “‘모든 물류정보는 통합정보센타에 집중돼야 한다’는 잘못된 오해를 갖고 있다” 며 “모든 정보가 모인다면 좋을 일이지만 포함돼서는 안되는 정보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취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공청회에 참석한 물류관계자들은 이 프로젝트에 회의적인 반응이었다. 한 참석자는“물류정보시스템이 정부를 주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며 “정부주도로 추진한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한 “시장에 대한 분석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정부 주도보다는 기업들을 지원할 것”을 제안하며 “정부가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를 내놓고 예산을 지원해 시장을 이끄는 것이 필수 과제”라고 지적했다.
다른 참석자도 “DB를 구축해 통합하고 정확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것은 좋은 의도” 라면서도 “포탈을 구축할 때의 물류 코드화 및 정보의 보완성, 공개 기준이 언급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서 “정확한 정보를 위한 영세업체의 시스템 지원계획과 보급 내용이 빠졌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참석자 역시 “예전에도 KILC(통합물류정보 프로젝트)와 같은 비슷한 물류정보 통합작업이 있었지만 수십억원의 예산만 낭비하고 유명무실한 상태” 라며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가 제대로 추진되지 않을 경우 세금만 낭비하는 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