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계 항공사론 최초...미국 통관시간 대폭 단축
아시아나항공(대표:姜柱安)이 지난 10월 8일(인증심사일)부로 아시아계 항공사 최초로 美 세관으로부터 테러 예방 화물 보안프로그램인 C-TPAT(Customs-Trade Partnership Against Terrorism)를 인증받는 쾌거를 이루었다.
C-TPAT는 9.11 테러 이후 테러리스트 및 무기 등이 미국으로 반입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美 국토보안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산하의 美 세관 국경경비국 CBP(Customs & Border Protection)이 설정한 고수준의 반테러 보안프로그램이다.
아시아나는 미국 세관측에 화물대리점 및 협력업체 보안통제 현황파악 및 관리, 화물탑재용기 보안통제 관리 등을 내용으로 한 화물보안프로그램을 제출해 최초 가입허가를 받은 후, CBP의 담당자가 방문해 아시아나의 보안프로그램을 현장 실사하는 등 엄격한 심사 과정을 통해 C-TPAT 회원사로 인증을 받게 됐으며, 지난 12월 12일 공식 인증서 수여식이 실시됐다.
이번 인증과 관련 아시아나 화물서비스 관계자는 "항공화물의 안전 및 보안 절차에 대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신속 통관을 비롯한 다양한 세관관련 혜택을 제공해 화물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아시아나측은 이번 C-TPAT 인증이 2004년 초부터 약 4년 동안의 준비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금번 인증이 아시아계 항공사로는 최초이고 외항사로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써 아시아나의 안전 및 보안에 관한 프로그램이 세계 일류임을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美 세관 국경경비국(CBP)가 요구하는 보안통제 관리사항으로는 ▲Business Partner Requirements(화물대리점 및 협력업체 보안통제 현황파악 및 관리) ▲Container Security(화물탑재용기 보안통제 관리) ▲Human Resources(직원 신원조회 및 관리) ▲Information Technology(전산 보안 관리 현황) ▲Shipping Documentation(화물 및 화물서류 일치 관리: 美 세관 전산보고 요구 준수) ▲Training(보안교육) ▲Access Controls(화물터미널, 공항 램프지역, 항공기 접근통제) ▲Physical Security(화물터미널 시설보안) 등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번 C-TPAT 가입에 따라 ▲세관 감찰시간 단축(Time to release cargo by CBP) ▲수입 통관시간 단축 기대(Time to CBP inspection lines) ▲미세관 국토보안부(CBP)가 아시아나항공의 안전과 보안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인정 ▲C-TPAT 회원 글로벌 화물대리점이 항공사 선택시 선택 기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여 수익증대 기대 ▲항공 보험료 감소 기대(Insurance) ▲세관 범칙금 감소(Penalties) 등의 혜택이 고객에게 돌아갈 것으로 전망했다. /김석융 기자
아시아나항공(대표:姜柱安)이 지난 10월 8일(인증심사일)부로 아시아계 항공사 최초로 美 세관으로부터 테러 예방 화물 보안프로그램인 C-TPAT(Customs-Trade Partnership Against Terrorism)를 인증받는 쾌거를 이루었다.
C-TPAT는 9.11 테러 이후 테러리스트 및 무기 등이 미국으로 반입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美 국토보안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산하의 美 세관 국경경비국 CBP(Customs & Border Protection)이 설정한 고수준의 반테러 보안프로그램이다.
아시아나는 미국 세관측에 화물대리점 및 협력업체 보안통제 현황파악 및 관리, 화물탑재용기 보안통제 관리 등을 내용으로 한 화물보안프로그램을 제출해 최초 가입허가를 받은 후, CBP의 담당자가 방문해 아시아나의 보안프로그램을 현장 실사하는 등 엄격한 심사 과정을 통해 C-TPAT 회원사로 인증을 받게 됐으며, 지난 12월 12일 공식 인증서 수여식이 실시됐다.
이번 인증과 관련 아시아나 화물서비스 관계자는 "항공화물의 안전 및 보안 절차에 대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신속 통관을 비롯한 다양한 세관관련 혜택을 제공해 화물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아시아나측은 이번 C-TPAT 인증이 2004년 초부터 약 4년 동안의 준비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금번 인증이 아시아계 항공사로는 최초이고 외항사로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써 아시아나의 안전 및 보안에 관한 프로그램이 세계 일류임을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美 세관 국경경비국(CBP)가 요구하는 보안통제 관리사항으로는 ▲Business Partner Requirements(화물대리점 및 협력업체 보안통제 현황파악 및 관리) ▲Container Security(화물탑재용기 보안통제 관리) ▲Human Resources(직원 신원조회 및 관리) ▲Information Technology(전산 보안 관리 현황) ▲Shipping Documentation(화물 및 화물서류 일치 관리: 美 세관 전산보고 요구 준수) ▲Training(보안교육) ▲Access Controls(화물터미널, 공항 램프지역, 항공기 접근통제) ▲Physical Security(화물터미널 시설보안) 등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번 C-TPAT 가입에 따라 ▲세관 감찰시간 단축(Time to release cargo by CBP) ▲수입 통관시간 단축 기대(Time to CBP inspection lines) ▲미세관 국토보안부(CBP)가 아시아나항공의 안전과 보안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인정 ▲C-TPAT 회원 글로벌 화물대리점이 항공사 선택시 선택 기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여 수익증대 기대 ▲항공 보험료 감소 기대(Insurance) ▲세관 범칙금 감소(Penalties) 등의 혜택이 고객에게 돌아갈 것으로 전망했다. /김석융 기자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