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개항 이래 최대 프로젝트로 꼽히고 있는 북항재개발 사업자로 부산항만공사(BPA)가 지정됐다.
이에 따라 내년 하반기 본격적인 건설공사에 들어가는 등 북항재개발 사업이 가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BPA는 해양수산부가 북항재개발 사업의 차질없는 추진을 위해 BPA를 사업시행자로 최종 확정, 통보해 왔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BPA가 ‘항만과 그 주변지역의 개발 및 이용에 한 법률’ 등 관련 법령에 의해 항만재개발 사업의 시행자 및 항만의 실질적 관리자로서 요건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수부측은 설명했다.
BPA는 이에 따라 다음달 중 전담법인을 설립하고 현재 수립중인 사업계획을 내년 상반기 실시 설계를 거쳐 하반기에는 착공이 가능하도록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북항 재개발사업은 일반부두인 1~4부두와 중앙부두 일대 150만㎡를 오는 2020년까지 시민친수공간과 국제 해양관광거점으로 재개발하는 것으로 총 8조5천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BPA 정진영 북항재개발팀장은 “북항 재개발 사업자로 BPA가 지정됨에 따라 사업 추진에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면서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만전을 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 하반기 본격적인 건설공사에 들어가는 등 북항재개발 사업이 가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BPA는 해양수산부가 북항재개발 사업의 차질없는 추진을 위해 BPA를 사업시행자로 최종 확정, 통보해 왔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BPA가 ‘항만과 그 주변지역의 개발 및 이용에 한 법률’ 등 관련 법령에 의해 항만재개발 사업의 시행자 및 항만의 실질적 관리자로서 요건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수부측은 설명했다.
BPA는 이에 따라 다음달 중 전담법인을 설립하고 현재 수립중인 사업계획을 내년 상반기 실시 설계를 거쳐 하반기에는 착공이 가능하도록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북항 재개발사업은 일반부두인 1~4부두와 중앙부두 일대 150만㎡를 오는 2020년까지 시민친수공간과 국제 해양관광거점으로 재개발하는 것으로 총 8조5천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BPA 정진영 북항재개발팀장은 “북항 재개발 사업자로 BPA가 지정됨에 따라 사업 추진에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면서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만전을 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코리아포워더타임즈 & parcelherald.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보기
NEWS - 최신 주요기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