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DHL의 2014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1% 증가한 566.3억 유로이며, 영업이익(EBIT)은 3.5% 증가한 29.7억 유로를 기록했다. DPDHL은 2014년의 실적개선이 전자상거래(E-Commerce)와 신흥시장(emerging markets) 등 성장 시장에서의 운영 성과에 기인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회성 효과 및 세율증가(14%→15.5%)로 ..
DHL 익스프레스가 싱가포르 창이공항의 Changi Airfreight Centre 내에 850만 유로를 투자하여 2016년 1사분기까지 물류센터를 신규로 건립할 계획이다. 이 물류센터는 DHL이 싱가포르에 투자한 물류시설 중 최대규모를 자랑함 - 대지면적 26,000㎡에 바닥면적 23,500㎡ 규모로 설립되는 이 물류센터는 싱가포르 및 남아시 아 최초의 전자동 특송화물 분..
어플 사용 운송회사 Uber사가 최근 홍콩에 새로운 화물서비스 UberCargo 출시했다. UberCargo는 부피가 큰 화물운송을 필요로 하는 도시민들을 위한 서비스로 핸드폰 어플을 이용한 서비스로서 고객들이 화물운송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수령인에게 화물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고객이 화물운송시 차량에 동승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마련..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복합환적단지인 브론카(Bronka) 항만 시설이 확충 될 예정이다. 브론카 항만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큰 항만 중 하나로 구역별로 컨테이널 터미널(107ha), Ro-Ro 터미널(57ha), 물류센터(42ha) 시설이 건립될 예정이다. 2015년 7월에는 냉장컨테이너 저장시설이 2.4ha에서 7.8ha로 확대됨 - 현재 Ro-Ro 터미널에서 연간 2..
아프리카에 대한 국제 인프라 투자는 아프리카 전역에서 에너지 부문이 여전히 강세를 이루고 있 는 가운데 최근 교통물류 부문이 급신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투자자문 회사 딜로이트는 최근, 2014년 아프리카 건설부문 현황 보고서 “African Construction Trends Report 2014"를 통해 이와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아프리카 각국..
지난해 2014년에 중국의 상하이항은 3,529만 TEU를 처리하여 2010년부터 세계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닝보-저우산항은 1,868만 TEU를 처리한 부산항을 77만 TEU 차이로 제치고 5위로 올라섰다. 반면, 광저우항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17.2%의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지난 2012년부터 칭다오항에 밀려 8위로 내려 앉았으며 2013년부터..
세계은행(World Bank)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의 철도 물류가 크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보고서의 제목은 “Customer-driven Rail Intermodal Logistics: Unlocking a New Source of Value for China”로 금년 3월에 발표됨 - 특히 이 보고서는 북미와 같은 산업구조 및 규제 개혁이 이루어진다면 철도 물류의 성장 가 능성이 매우 높을 것..
글로벌 자동차 운송회사인 발레니우스 빌헴름센 로지스틱스(Wallenius Wilhelmsen Logistics, WWL) 는 Tianjin Port Group과의 조인트벤처를 통해 텐진에 자동차 전용물류센터를 개장했다. 동 물류센터는 톈진 동강 FTZ에서 위치하며 140,000㎡ 규모의 야적장과 6,000㎡ 규모의 작업장을 갖춘 대규모 시설이다. 이번에 개장되는 물류센터는 WWL가 중국..
APL 로지스틱스사는 스리랑카 투자청과 카투나야크(Katunayake) 수출 가공 지역(EPZ)에 대한 투자 합의서를 체결했다. 이번 투자 합의 체결 이후 APL 로지스틱스사는 스리랑카에 금년 하반기까지 남아시아 지역을 위한 신규 통합 허브 구축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더하여 APL 로지스틱스 Lank2)는 카투나야크 수출 가공 지구 내의 컨테이너화물집..
지난 3월 말부터 머스크사가 아시아에서 러시아 노보로시스크항3)으로 컨테이너 직항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는 흑해지역 컨테이너 항만들의 처리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머스크사가 이와 같은 투자를 하게된 것이다. 새로운 항로에는 일본의 요코하마항, 나고야항, 한국의 부산항, 중국의 상하이항, 닝보항, 옌텐항, 싱가포르의 싱가포르항, 러시..